전해 커패시터는 어떤 일을 할까? 평활회로의 핵심

이미지
전원 회로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부품, 바로 전해 커패시터 입니다. 스펙 표에 'uF'로 표기된 이 부품은 도대체 어떤 역할을 할까요? 전자제품의 전원을 안정시키는 평활 회로의 핵심으로서 전해 커패시터 가 하는 일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전해 커패시터란 무엇인가? 전해 커패시터(Electrolytic Capacitor) 는 극성이 있는 고용량 커패시터 입니다. 대부분 알루미늄 전해질 또는 탄탈 전해질 을 사용하며, 크기는 비교적 크지만 높은 정전 용량 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원 회로, 평활 회로, 전압 유지 등에 필수적으로 쓰입니다. 외형은 원통형이며, – 극성 표기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잘못 연결하면 폭발하거나 누액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정류 후 전압의 '물결'을 다듬는 평활 회로 AC 전원을 DC로 바꾸는 과정에는 정류(RECTIFY) 와 평활(SMOOTH) 이라는 두 단계를 거칩니다. 다이오드를 통해 교류(AC)를 직류(DC)로 정류한 뒤, 그 정류된 전압에는 여전히 리플(Ripple)이라는 파형이 남아 있습니다. 이때 전해 커패시터는 리플 성분을 흡수하고 전압을 평탄하게 만들어 부품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전해 커패시터의 평활 작용 원리 정류된 DC 전압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톱니 모양 파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파형의 고점을 충전 하고, 저점에서는 방전 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전해 커패시터 의 역할입니다.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전압을 완만하게 유지 합니다. 이를 통해 전자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이 순간적으로 변하지 않고 안정성을 확보 하게 됩니다. 4. 용량 선택 시 고려할 요소 전해 커패시터 의 용량은 uF(마이크로패럿) 단위로 표시되며, 보통 전류량이 클수록 더 큰 용량 이 필요합니다. ...

한국이 CBDC 발행하면 일상생활은 어떻게 바뀔까?

이미지
디지털 원화 시대로의 전환이 머지않았습니다.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가 현실화되면, 우리의 일상생활과 경제 시스템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이 글에서 자세히 살펴봅시다.     디지털 화폐 시대의 시작 출처: Bing 이미지 / Vecteezy 라이선스 기반 1. 지갑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결제 CBDC가 도입되면 스마트폰 하나로 택시, 카페, 심지어 버스요금 결제까지 즉시 가능해집니다. 현금을 꺼낼 필요 없이, 디지털 지갑으로 간단히 QR 코드 또는 NFC 결제를 할 수 있습니다. 즉시 결제: 카드 승인 기다림 없이 실시간 직불 결제 수수료 절감: 카드사 수수료 없이 저렴한 비용     2. 현금·카드 없이도 송금 가능 친구나 가족에게 송금할 때, 은행 앱이나 계좌 없이도 상대방 디지털 지갑으로 바로 돈을 보낼 수 있습니다. 심지어 은행 문 닫은 시간에도 24시간 365일 송금이 가능해집니다. 3. 정부지원금, 실시간으로 전달 재난지원금이나 사회복지 수당 등은 중앙은행에서 국민 개인 지갑으로 직접 송금됩니다. 중간 은행이나 카드사를 거치지 않아 지급 속도와 정확성이 높아지고, 수수료 또한 절약됩니다. 4. 금융 소외층의 접근성 향상 은행 계좌가 없는 사람도 디지털 지갑만 있으면 금전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청소년, 고령자, 이주 노동자 등 금융 접근성이 낮은 계층에게 혁신적인 변화가 예상됩니다.     5. 소비 패턴 실시간 분석 정부와 중앙은행은 소비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해 경제 상황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 대응이 빠르고 정확해집니다. 6. 보안·프라이버시 설계 필요 거래가 모두 기록되는 시스템인 만큼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문제가 핵심 과제로 떠오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기술들이 ...

수직이등분선으로 정밀하게! 원형 판재 중심점 찾는 고급 테크닉 4가지

이미지
원형 목재나 판재의 중심점을 정확히 찾는 일은 단순해 보이지만, 정밀 가공이나 선반 작업, CNC 세팅 등에서는 치명적인 오차를 줄이기 위해 고급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기본을 넘어서는 4가지 중심 찾기 테크닉을 소개합니다.     1. 수직이등분선 기법 세 점을 원의 가장자리에 임의로 잡고 삼각형을 만든 뒤, 각 변의 수직이등분선을 그리면 중심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세 수직이등분선이 만나는 점이 원의 정확한 중심입니다. 이 방법은 직경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뛰어난 정밀도를 보장합니다. 2. 삼각자와 컴퍼스를 이용한 정확 측정 컴퍼스를 활용해 동일 반지름의 호를 그리고, 호가 교차하는 지점을 연결해 중심점을 찾는 방식 입니다. 특히 큰 원판이나 가공 전 레이아웃 작업에 유리합니다. 컴퍼스가 있다면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3. CAD 도면 기반 좌표 중심 확인 도면 기반 가공 시에는 CAD 툴에서 자동으로 중심좌표를 확인하고 그 위치를 가공에 반영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레이저 커팅, CNC 밀링 등에서는 이 방법이 표준이며, 오차율이 거의 없습니다. 4. 디지털 센터 위치 측정기 사용 디지털 센터파인더 또는 전자식 중심 측정기를 사용하면 고정밀 측정이 가능합니다. 목재뿐 아니라 금속, 아크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장비 가격이 다소 높은 편이라는 점입니다.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할까? 입문자 : 직각자 또는 컴퍼스를 이용한 방법 추천 정밀가공 작업자 : 수직이등분선 또는 CAD 활용 방식 권장 대형 원판이나 반복 작업 : 디지털 센터 측정기 또는 CNC 세팅이 효율적 정리 목공에서 중심을 찾는 기술은 단순한 스킬이 아니라, 전체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역...

돼지고기 해동 꿀팁! 안전하고 맛있게 해동하는 방법

이미지
냉동실에서 꺼낸 돼지고기, 어떻게 해동하고 계신가요? 전자레인지에 바로 돌리는 건 간편하지만, 식감과 위생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돼지고기를 가장 안전하고 맛있게 해동하는 3가지 방법 을 소개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해드립니다.     1. 냉장 해동 – 가장 안전한 방법 방법: 돼지고기를 랩이나 지퍼백에 밀봉한 채로 냉장실에 8~12시간 정도 둡니다. 장점: 세균 번식 위험이 낮고, 육즙 손실이 적어 식감이 살아납니다. 단점: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미리 계획이 필요합니다. 2. 찬물 해동 – 빠르고 비교적 안전 방법: 밀봉된 상태로 찬물에 담가 약 1~2시간 정도 둡니다. 중간에 물을 한 번 교체하면 더 안전합니다. 장점: 냉장 해동보다 빠르면서도 비교적 안전하게 해동할 수 있습니다. 단점: 포장이 불량하면 물이 스며들 수 있으며, 상온보다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전자레인지 해동 – 바쁠 땐 사용 가능하지만 주의 방법: 전자레인지의 '해동' 기능을 사용해 3~5분간 돌립니다. 장점: 가장 빠르게 해동할 수 있어 긴급할 때 유용합니다. 단점: 겉면이 익어버릴 수 있고, 식감이 떨어지며 세균 증식 가능성도 있습니다. 4. 해동 후 바로 조리하는 것이 중요 한 번 해동한 돼지고기는 재냉동하면 안 됩니다. 해동 후에는 24시간 이내에 조리해 먹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보관이 필요한 경우 조리 후 냉장 또는 냉동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부위별 해동 팁 삼겹살: 얇게 썰린 상태면 찬물 해동이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목살/앞다리살: 냉장 해동으로 식감과 풍미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진 고기: 박테리아 번식이 빠르므로 반드시 냉장 해동 후 빠른 조리가 필요합니다.     해동도 조리의 시작...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가 가져올 변화: 투자자 보호 vs 경영 부담

이미지
2025년 상법 개정의 핵심 중 하나는 바로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입니다. 기존에는 이사가 ‘회사’에 대해 선의로 성실하게 행동할 의무가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그 범위가 ‘주주 전체’로까지 넓어집니다. 이는 단순한 문구 변경 이상의 지배구조 혁신 과 연결되며, 기업과 투자자 모두에게 중대한 시사점을 던집니다. 1. 충실의무란 무엇인가? 충실의무는 이사가 회사의 이익을 위해 성실하게 직무를 수행할 의무입니다. 이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근거하며, 미국이나 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도 법제화된 이사회 책임의 핵심 원칙입니다.     2. ‘회사’에서 ‘주주 전체’로의 변화 의미 의무의 확장 : 특정 대주주나 내부경영진이 아닌, 전체 주주에 대한 고려를 요구 소수주주 보호 강화 : 불리한 합병, 우회상장, 자산 유출 등에 대한 견제 강화 이사 책임 소송 활성화 : 주주가 이사의 충실의무 위반을 근거로 손해배상 청구 가능 3. 투자자 보호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경영진의 사익 추구 견제 의사결정의 투명성 확보 시장 신뢰 회복 및 외국인 투자 확대 특히 국민연금, 행동주의 펀드 등 기관투자자들은 이 조항을 근거로 책임 있는 경영요구 를 제기할 수 있게 됩니다.     4. 기업 입장에서의 부담 요인 의사결정 지연 우려 : 모든 주주에 대한 영향 평가로 절차 길어짐 소송 리스크 증가 : 경영상 판단의 영역과 위법의 경계 모호 경영자 보호 장치 필요 : D&O 보험 확대, 의사결정 기록 보강 5. 해외와의 비교 미국의 델라웨어 법원은 ‘주주의 최대 이익’을 기준으로 이사 의무를 판단하며, 이와 유사한 흐름이 한국에도 반영된 것입니다. 다만, 한국은 소송문화가 상대적으로 약하므로 당장은 제한적 적용이 예상되나, 제도 정착 시 효과는 강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6. 기업이 ...

FET 종류별 성능비교와 추천 용도: RF, 파워, 디지털 회로에서의 선택 전략

이미지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는 전자 회로에서 핵심적인 능동소자다. 그러나 그 종류는 다양하며, 각기 다른 특성과 응용처를 갖고 있다. 본 포스트에서는 대표적인 FET 종류인 JFET, MOSFET, LDMOS, GaN FET, MESFET, HEMT 등을 비교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어떤 FET를 선택해야 하는지 그 전략을 제시한다.     1. 대표적인 FET 종류와 주요 특성 비교 JFET (Junction FET) : 고입력 임피던스, 낮은 노이즈, 주로 아날로그 증폭용 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ET) : 널리 쓰이는 범용 FET, 디지털 및 전력용 회로에서 우수한 성능 LDMOS (Laterally Diffused MOSFET) : 고전력 RF 송신기용, 내전압과 선형성이 뛰어남 GaN FET (Gallium Nitride) : 고주파 고전력에 특화, 빠른 스위칭과 높은 효율 MESFET (Metal Semiconductor FET) : 고속 고주파 응용에서 사용, 마이크로파 대역에 적합 HEMT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 고이동도 전자 특성, 위성, 5G, 레이더용     2. 용도별 추천 FET 조합 ① 디지털 회로: 로직 제어용 추천: N채널 MOSFET (IRL 시리즈) 특징: Gate Threshold Voltage가 2V 이하 →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도 직접 구동 가능 ② 전력 회로: SMPS, 모터 구동 추천: Power MOSFET (IRF 시리즈, STP 시리즈) 특징: 높은 드레인 전류, 낮은 R DS(on) , 고속 스위칭 ③ 고주파(RF) 회로: 송수신 증폭기, 레이더 추천: LDMOS, GaN FET 특징: 고전압 견딤, 고출력 선형성, 열...

스타링크는 왜 수만 개의 위성을 쏘아올릴까? 위성 군집의 모든 것

이미지
최근 뉴스나 기술 트렌드 속에서 자주 언급되는 단어 중 하나가 ‘스타링크(Starlink)’입니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로, 저궤도 위성을 수만 기 발사해 전 세계 어디에서나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려는 야심찬 시도입니다. 그런데 왜 이토록 많은 위성이 필요한 걸까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위성 군집(위성 콘스텔레이션)의 개념과 필요성, 기술적 구조, 그리고 스타링크가 만들어내는 통신 혁명의 현재와 미래를 쉽고 자세하게 풀어봅니다. 1. 위성 군집(Satellite Constellation)이란? 위성 군집은 말 그대로 여러 개의 인공위성이 마치 별자리처럼 궤도상에 정해진 규칙대로 배치되어 협력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입니다. 단일 위성이 담당하는 통신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지구 전역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위성이 필요합니다. 스타링크의 경우, 현재까지 6,000여 기가 이미 발사되었고, 최종적으로는 42,000기 이상의 저궤도 위성을 배치할 계획입니다. 이는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규모입니다. 2. 왜 수만 개가 필요한가? 기존의 정지궤도 위성은 고도 35,786km에서 지구를 돌며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지만, 지연 시간이 크고 도달 신호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저궤도 위성은 고도 500~1,200km 정도로, 데이터 지연시간이 20~50ms 수준으로 매우 짧습니다. 문제는 커버리지가 좁다는 것입니다. 지구 상공을 빠르게 통과하는 저궤도 위성이 24시간 끊김 없는 통신을 제공하려면, 적어도 수천 기 이상의 위성이 필요하며, 중복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다층 구조로 위성을 배치하게 됩니다.     3. 스타링크의 구조: 궤도와 레이저 링크 스타링크는 위성을 수평, 수직, 고도별로 계층화하여 배치합니다. 고도별로 다른 궤도층(Orbital Shell)을 구성하며, 위성 ...

도쿄 지하철역 안에서 즐길 수 있는 TOP 10 명소

이미지
도쿄는 도시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미로처럼 설계된 복합 공간입니다. 특히 지하철역은 단순히 이동을 위한 장소가 아니라, 그 자체로 ‘작은 도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하 쇼핑몰, 미술 전시, 푸드홀, 역사적 유물 등 역 안에서 하루를 보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다양한 콘텐츠가 가득하죠. 오늘은 도쿄의 주요 지하철역 중, 그 내부 또는 바로 연결된 공간에서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10곳을 선정해 소개합니다. 관광 명소만 쫓는 여행에서 벗어나, ‘지하철역 자체를 목적지로 삼는 여행’ 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1. 도쿄역 – GRANSTA & 라멘 스트리트 도쿄역 지하에는 거대한 쇼핑몰 GRANSTA 와 도쿄 라멘 스트리트 가 자리하고 있어요. 도쿄를 대표하는 라멘 가게들이 모여 있고, 오미야게(선물) 쇼핑도 이곳에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신주쿠역 – 루미네 에스트 & NEWoMan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역으로 알려진 신주쿠역은 루미네 , NEWoMan , 미나미테라스 등 다양한 쇼핑몰과 직결됩니다. 트렌디한 패션, 화장품, 카페까지 한곳에서 모두 경험할 수 있습니다. 3. 오모테산도역 – 오모테산도 힐즈 & 도큐 플라자 오모테산도역은 지하 통로를 통해 오모테산도 힐즈 와 도큐 플라자 로 바로 연결되며, 고급스러운 쇼핑과 디자인 감성이 가득한 거리 산책이 가능합니다. 4. 롯폰기역 – 모리 미술관 & 도쿄 미드타운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과 도에이 오에도선이 지나가는 이 역은 롯폰기 힐즈 와 도쿄 미드타운 과 바로 연결됩니다. 현대미술 전시와 고급 다이닝이 어우러진 문화 중심지입니다.     5. 우에노역 – 국립서양미술관 & 아메요코 지하철을 타고 우에노역에 도착하면 지하로 곧바로 국립서양미술관 , 우에노 공원 까지 연결됩니다. 출구를 나서면 바로 아메요코 시장 도 함께 즐길 수 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