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이 발생하면 산을 통과하는 고압 송전선의 전원은 차단될까?

매년 산불이 발생하는 시기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산불 발생 시 고압 송전선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산불이 발생하면 불길이 번지는 것만으로도 위험한데, 전기가 흐르는 송전선과 만난다면 감전이나 폭발 같은 추가 사고가 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생기는 것은 당연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산불이 발생했을 때 고압 송전선이 어떻게 관리되고, 실제로 전원이 차단되는지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산불 발생 시 고압 송전선의 전원 차단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결론부터 말하면, 산불 발생 시 고압 송전선의 전원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차단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모든 상황에서 무조건 차단되는 것은 아니며, 몇 가지 조건에 따라 판단이 이루어집니다. 송전선에 전류가 흐르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열기나 불꽃이 송전선에 접근하여 플래시오버(Flashover, 방전 현상) 가 발생하거나, 송전설비(애자, 철탑 등)가 손상될 우려가 있을 때 차단 조치가 이루어집니다. 이때 전원 차단은 크게 자동 차단(계전기 동작) 과 수동 차단(관제센터 판단)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동 차단: 보호계전기의 역할 고압 송전선에는 전류, 전압, 온도, 아크(방전) 등을 감지하는 보호계전기(Protection Relay) 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송전선 근처에서 산불로 인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방전이 발생할 경우 이 계전기가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차단기(Breaker)를 트립 시키게 됩니다. 특히 거리계전기, 지락계전기, 과전류계전기 등은 이러한 상황에 빠르게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플래시오버가 발생하면 계전기는 전류 이상을 즉시 감지하고, 수 초 이내에 해당 회로를 차단합니다. 이는 인명 피해와 추가 사고를 막기 위한 기본적인 보호 시스템입니다. 수동 차단: 전력회사와 소방 당국의...